s s

본원통화가 시중은행에 공급되는 방식 안녕하세요제가 읽고 있는 책 중에서 궁금한 점에 있어서 질문드립니다위의 내용에서

2 2 2 2 2

본원통화가 시중은행에 공급되는 방식 안녕하세요제가 읽고 있는 책 중에서 궁금한 점에 있어서 질문드립니다위의 내용에서

안녕하세요제가 읽고 있는 책 중에서 궁금한 점에 있어서 질문드립니다위의 내용에서 색깔로 표시해둔 부분을 보면요,본원통화는 ............ 중앙은행이 시중 은행에 자금을 빌려주는 형태로 공급이 된다라고 되어 있습니다그런데 제가 알기로는,중앙은행이 본원통화를 시중은행에 공급할 때는, 공개시장조작을 통하는 걸로 알고 있습니다즉 시중은행이 가진 국채 등의 채권을 매입하고 그 대가로 본원통화를 공급하는 걸로 알고 있는데요그렇다면 채권과 본원통화를 맞바꾼 것이니 이것이 '빌려주는 형태'는 아닌 것 같아서요.......궁금합니다

cont
image

1. 본원통화의 공급 방식

본원통화는 중앙은행이 발행한 통화로, 시중은행에 공급되는 방식은 크게 두 가지가 있습니다.

1) 공개시장조작 (Open Market Operations, OMO)

  • 정의: 중앙은행이 시중은행이 보유한 국채 등의 채권을 매입하거나 매각하여 본원통화를 공급하거나 흡수하는 방식입니다.

  • 과정:

  1. 중앙은행이 시중은행이 보유한 국채를 매입합니다.

  2. 이때, 중앙은행은 국채 대가로 본원통화를 시중은행에 지급합니다.

  3. 시중은행은 이 본원통화를 기반으로 대출을 확대하고, 이는 신용창조를 통해 통화량을 증가시킵니다.

  • 목적: 통화량을 조절하여 경제의 유동성을 관리하고, 금리 수준을 조정합니다.

2) 대출 (Lending), 재할인률

  • 정의: 중앙은행이 시중은행에 직접 자금을 빌려주는 방식입니다.

  • 과정:

  1. 중앙은행이 시중은행에 자금을 빌려줍니다.

  2. 시중은행은 이 자금을 기반으로 대출을 확대하고, 신용창조를 통해 통화량을 증가시킵니다.

  • 목적: 시중은행의 유동성을 지원하고, 금융시장의 안정성을 유지합니다.

2. 공개시장조작과

공개시장조작 (OMO)

  • 정의: 중앙은행이 시중은행이 보유한 국채 등을 매입하거나 매각하여 통화량을 조절하는 정책입니다.

  • 과정:

  1. 중앙은행이 국채를 매입하면, 시중은행은 국채 대가로 본원통화를 받습니다.

  2. 이 본원통화는 시중은행의 유동성을 증가시키고, 이는 대출 확대로 이어져 통화량이 증가합니다.

  • 목적: 통화량을 조절하여 경제의 유동성을 관리하고, 금리 수준을 조정합니다.

3. 왜 공개시장조작을 하는가?

통화량 조절

  • 공개시장조작을 통해 중앙은행은 통화량을 조절할 수 있습니다. 통화량이 증가하면 경제 활동이 활성화되고, 통화량이 감소하면 경제 활동이 둔화됩니다.

금리 조정

  • 통화량이 증가하면 금리가 하락하고, 통화량이 감소하면 금리가 상승합니다. 이를 통해 중앙은행은 경제의 금리 수준을 조정할 수 있습니다.

경제 안정화

  • 공개시장조작을 통해 중앙은행은 경제의 유동성을 관리하고, 금융시장의 안정성을 유지할 수 있습니다.

4. 결론

  • 본원통화의 공급 방식은 공개시장조작과 대출 두 가지가 있습니다.

  • 공개시장조작은 중앙은행이 국채를 매입하여 본원통화를 공급하는 방식이며, 이를 통해 통화량과 금리를 조절합니다.

  • 추가 개념

  • ----------------------------------------------------------------------------

양적완화(QE, Quantitative Easing)란?

양적완화(QE, Quantitative Easing)는 경기 부양을 위해 중앙은행이 시장에 대량의 유동성을 공급하는 통화정책입니다.

핵심 개념

  • 중앙은행이 국채(정부 채권)나 회사채, 주택저당증권(MBS) 등을 대량 매입

  • 시중은행이 채권을 판 대가로 현금을 받음 → 대출 여력이 증가

  • 시장에 유동성이 증가 → 기업과 개인의 대출 확대 → 경제 활성화

즉, 중앙은행이 직접 돈을 풀어(채권 매입) 금융시장에 돈이 돌도록 하는 정책입니다!

1. 양적완화(QE)는 언제, 왜 하는가?

금리가 이미 0%에 가까워 더 낮출 수 없을 때(제로금리 하한선)

경기가 침체되었을 때 → 경제를 살리기 위해 자금을 공급할 필요가 있을 때

기업과 소비자가 대출을 받지 못할 때 → 신용경색을 완화하기 위해

대표적인 양적완화 사례

  •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미국 연준, QE1~QE3 시행)

  • 2020년 코로나 팬데믹 (미국 연준, 무제한 QE 시행)

  • 유럽중앙은행(ECB)과 일본은행(BOJ)도 장기간 QE 실시

즉, 금리를 더 내릴 수 없는 상태에서 경기를 부양하기 위해 중앙은행이 직접 돈을 공급하는 것입니다

테이퍼링 (Tapering)

  • 정의: 중앙은행이 공개시장조작을 통해 통화량을 점진적으로 줄이는 정책입니다.

  • 과정:

  1. 중앙은행이 국채 매입 규모를 점차 줄입니다.

  2. 이로 인해 시중은행의 유동성이 감소하고, 통화량이 점차 줄어듭니다.

  • 목적: 경제가 과열되는 것을 방지하고, 인플레이션을 통제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 테이퍼링은 공개시장조작을 통해 통화량을 점진적으로 줄이는 정책입니다.

  • 이러한 정책들은 경제의 유동성을 관리하고, 금융시장의 안정성을 유지하기 위해 사용됩니다.